기아가 2021년 8월 2일부터 EV6을 공식 판매하기 시작했다. 기아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활용해 만든 브랜드 첫 모델인 EV6을 2021년 3월 30일에 글로벌 공개하고 3월 31일부터 국내 소비자 대상으로 사전계약을 시작한 바 있다.

국내 판매 모델은 사전예약 시작과 함께 공개한 대로, 배터리 용량이 작은 스탠다드(58kWh)와 롱 레인지(77.4kWh)로 나뉘고 모델별로 뒷바퀴굴림을 기본으로 네바퀴굴림 시스템(듀얼 모터 4WD)을 선택할 수 있다. 트림은 에어(Air)와 어스(Earth)가 있고, 롱 레인지 모델은 추가로 실내외 꾸밈새를 스포티하게 차별화한 GT라인(GT-Line)을 마련했다.
디자인은 상반된 개념을 창의적으로 융합한다는 의미를 담은 새로운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를 바탕으로 했다는 것이 기아의 주장이다. EV6은 오퍼짓 유나이티드 철학을 반영해 디자인한 첫 양산 전기차다.

외부는 뒤 유리가 비스듬히 기운 크로스오버 해치백 스타일 차체에 기아 고유의 타이거 노즈(호랑이 코) 스타일을 재해석한 디지털 타이거 페이스 스타일의 앞 모습과 뒷바퀴에서 시작한 테일램프가 트렁크 리드 스포일러로 이어지며 차체 뒤쪽을 휘감는 다이내믹 캐릭터를 반영한 것이 특징이다.
헤드램프에는 ㄷ자 모양의 주간 주행등이 들어가고, 앞 범퍼 아래에 있는 공기 흡입구 형태는 차체를 낮고 넓어 보이게 만든다. 공기 흡입구 내부에는 주행 속도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 흐름을 능동 제어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 AAF)이 적용되어 있다. 옆 유리는 아래쪽이 뒤로 가면서 위로 솟구치는 형태로 디자인했고, 뒤쪽 쿼터 글라스와 뒤 유리 사이에 검정색 띠를 넣어 지붕이 떠있는 듯한 모습으로 만들었다. 휠은 모델에 따라 19인치와 20인치 규격 제품을 기본 또는 선택 사항으로 끼울 수 있다.
GT라인은 날카로운 분위기의 앞뒤 범퍼와 사이드 스커트를 달고 휠 아치를 차체와 같은 색으로 처리해 일반 모델과 차별화했다.

내부는 주요 요소를 가로로 넓게 배치한 대시보드와 외부 디자인과 통일감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한 도어 트림을 바탕으로 여러 장비와 수납 공간을 기능적으로 배치했다.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는 대시보드에는 운전자를 중심으로 계기판과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을 같은 면에 배치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달았고, 대시보드와 분리된 고정식 센터 콘솔은 아래쪽에 개방된 수납 공간을 마련해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분위기를 낸다. 센터 콘솔 위에는 운전자 쪽에 로터리식 기어 셀렉터와 시동 버튼, 컵 홀더 등을 입체적으로 배치했다.
기아는 EV6의 실내 여러 부분(도어 포켓, 대시보드 무드 조명 장식, 친환경 공정 나파 가죽 시트 등)에 폐 플라스틱 재활용 소재나 아마씨 추출물 등 친환경 소재와 공법을 다양하게 반영했다고 한다.
적재공간 크기는 기본 520L(VDA 기준)로 2열 좌석을 접으면 최대 1,300L까지 키울 수 있고, 앞 보닛 아래에는 프론트 트렁크(2WD 모델 기준 52L)도 마련되어 있다.

구동용 전기 모터는 기본으로 뒤 차축에 설치되고, 듀얼 모터 4WD(300만 원)를 선택하면 앞 차축 구동용 전기 모터가 추가로 설치된다. 전기 모터 출력은 스탠다드와 롱 레인지가 다르다. 스탠다드는 2WD가 125kW(170마력), 4WD가 앞뒤 합산 173kW(235마력)고, 롱 레인지는 2WD가 168kW(229마력), 4WD가 앞뒤 합산 239kW(325마력)다. 최대토크는 2WD 모델이 350Nm(35.7kg・m), 4WD 모델이 605Nm(61.7kg・m, 합산)다.
4WD 모델의 앞 차축에는 주행 상황에 따라 전기 모터와 구동축을 분리 또는 연결할 수 있는 디스커넥터 구동 시스템(Disconnector Actuator System, DAS)이 있어, 2WD와 4WD 상태 전환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모델에 전기 계통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실내 난방에 활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과 교통 상황과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활용해 회생 제동 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스마트 회생 시스템 2.0, 원 페달 주행이 가능한 i-페달 모드, 전후륜 모터 RPM 독립 제어 로직, 코너링 상황을 고려해 회생제동 특성을 조절하는 회생 안정성 컨트롤(Regen Stability Control, RSC) 로직 등이 기본 적용된다.
배터리 팩 충전 전력량은 스탠다드가 58.0kWh, 롱 레인지가 77.4kW로, 400V/800V 멀티 급속 충전 시스템이 기본 적용되어 800V 충전 시스템 사용 시 충전 전력량 10%에서 80%까지 충전하는 데 최소 18분이 걸린다. 아울러 구동용 배터리에 충전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가정용 220V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장치를 연결해 쓸 수 있는 V2L 콘센트(실내)가 기본 사항에 포함되어 있다(실외 콘센트는 컨비니언스 패키지 선택 사항). 아울러 충전 케이블 연결 즉시 자동으로 인증과 결제 절차가 진행돼 바로 충전을 시작할 수 있는 PnC(Plug & Charge) 기능도 적용됐다.

주요 기본 운전 및 주행 보조 기능으로는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차로 이탈방지 보조(LKA), 도로별 제한속도에 맞춰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는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Intelligent Speed Limit Assist, ISLA), 운전자 주의 경고(DAW) 등이 있고, 드라이브 와이즈 및 하이테크 패키지를 선택하면 고속도로 주행 보조 기능에 차로 변경 보조 기능이 추가되는 고속도로 주행 보조 2(HDA2),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 및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RCCA),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PCA-R), 안전 하차 보조(SEA), 서라운드 뷰 모니터(SVM),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 등이 추가된다.
기본 편의 기능 및 장비로는 12.3인치 내비게이션 시스템(기아 커넥트, 폰 프로젝션, 기아 페이 포함), 좌우 독립 제어 풀 오토 에어컨, 스마트 파워 테일 게이트, 후방 모니터, 앞뒤좌석 USB-C 충전 포트, 애프터 블로우(에어컨 습기 건조) 기능 등이 있고, 동반석 전동 조절 기능 및 릴랙션 컴포트 기능(컴포트 패키지 포함), 뒷좌석 열선(컴포트 패키지 포함), 스마트폰 무선충전 시스템(컨비니언스 패키지 포함), 콘솔 터치 스위치(프리미엄 패키지 포함) 등은 패키지 선택 사항을 추가하면 넣을 수 있다.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친환경차 세제혜택 미반영 기준)은 스탠다드가 에어 4,945만 원, 어스 5,390만 원, 롱 레인지가 에어 5,353만 원, 어스 5,850만 원, GT라인 5,938만 원이다. 듀얼모터 AWD는 모든 모델과 트림에 추가(300만 원)할 수 있는 선택 사항이다.
모든 선택 사항을 추가했을 때의 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친환경차 세제혜택 미반영 기준)은 스탠다드 2WD가 5,695만(에어)/5,680만 원(어스), 스탠다드 4WD가 5,995만(에어)/5,980만 원(어스), 롱 레인지 2WD가 6,203만(에어)/6,240만(어스)/6,288만 원(GT라인), 롱 레인지 4WD가 6,503만(에어)/6,540만(어스)/6,588만 원(GT라인)이다.
친환경차 구매 국고보조금은 롱 레인지 4WD 20인치 휠 적용 모델(783만 원)을 제외한 나머지 모델이 800만 원으로 책정되었다.
한편, 2021년 8월 2일 현재 스탠다드 4WD 모델은 국내 인증이 끝나지 않아 관련 제원이 발표되지 않았으며 출고는 인증이 끝난 뒤에 시작될 예정이다. 또한, 고성능 모델인 EV6 GT는 2022년 하반기 출시 예정이다.
[ 주요 제원 ]
기아 EV6 스탠다드 2WD | |
---|---|
차체형식, 공차중량 | 4도어 5인승 해치백, 1825kg |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 4680x1880x1550mm, 2900mm |
동력계 형식, 최고출력, 최대토크 | 전기 모터, 125kW(170마력), 350Nm(35.7kg・m) |
굴림방식 | 뒷바퀴굴림(RR) |
배터리 용량, 복합전비, 1회 충전 복합 주행가능거리 | 58.0kWh, 5.6km/kWh, 370km |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 | 4,945만~5,390만 원(친환경차 세제혜택 반영 전) |
기아 EV6 스탠다드 4WD | |
---|---|
차체형식, 공차중량 | 4도어 5인승 해치백, -kg |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 4680x1880x1550mm, 2900mm |
동력계 형식, 최고출력, 최대토크 | 전기 모터(x2), 173kW(235마력, 합산), 605Nm(61.7kg・m, 합산) |
굴림방식 | 네바퀴굴림(eAWD) |
배터리 용량, 복합전비, 1회 충전 복합 주행가능거리 | 58.0kWh, -km/kWh, -km |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 | 5,245만~5,690만 원(친환경차 세제혜택 반영 전) |
기아 EV6 롱 레인지 2WD | |
---|---|
차체형식, 공차중량 | 4도어 5인승 해치백, 1930~1945kg |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 4680x1880x1550mm, 2900mm (GT라인: 4695x1890x1550mm, 2900mm) |
동력계 형식, 최고출력, 최대토크 | 전기 모터, 168kW(229마력), 350Nm(35.7kg・m) |
굴림방식 | 뒷바퀴굴림(RR) |
배터리 용량, 복합전비, 1회 충전 복합 주행가능거리 | 77.4kWh, 4.9~5.4km/kWh, 434~475km |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 | 5,353만~5,938만 원(친환경차 세제혜택 반영 전) |
기아 EV6 롱 레인지 4WD | |
---|---|
차체형식, 공차중량 | 4도어 5인승 해치백, 2040~2055kg |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 4680x1880x1550mm, 2900mm (GT라인: 4695x1890x1550mm, 2900mm) |
동력계 형식, 최고출력, 최대토크 | 전기 모터(x2), 239kW(325마력, 합산), 605Nm(61.7kg・m, 합산) |
굴림방식 | 네바퀴굴림(eAWD) |
배터리 용량, 복합전비, 1회 충전 복합 주행가능거리 | 77.4kWh, 4.6~5.0km/kWh, 403~441km |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 | 5,653만~6,238만 원(친환경차 세제혜택 반영 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