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시스 G90

제네시스가 2021년 12월 14일에 G90 세단과 롱 휠베이스 모델의 값을 포함한 상세 정보를 공개하고 12월 17일부터 계약을 시작했습니다. 신형 G90은 현대 에쿠스를 시작으로 이어진 현대 계열 브랜드 초대형 세단의 4세대에 해당하는 완전 변경 모델로, 제네시스 브랜드 독립 후 나온 G90으로서는 첫 새 모델이기도 합니다. 아울러 역대 현대 계열 브랜드 초대형 세단 중 처음으로 일반 모델과 롱 휠베이스 모델의 차체 뒤쪽(뒤 도어 및 뒷좌석 부분) 디자인을 뚜렷하게 달리했습니다. 우선 일반 모델부터 판매가 시작되고, 롱 휠베이스 모델의 세부 사항은 국내 인증이 끝난 뒤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외부는 제네시스가 꾸준히 세단 디자인에 반영하고 있는 롱 노즈 숏 데크와 패스트백 스타일을 응용해 뒷좌석 중심 공간 구성을 역동적 분위기로 표현했습니다. 보닛과 펜더 위쪽을 하나의 패널로 만든 클램셸 스타일 보닛도 역대 G90 중 처음으로 쓰였습니다.

옆 모습은 선과 면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대신 유리 테두리 형태에 각을 주고 C 필러를 두텁게 만들어 뒷좌석의 비중이 큰 차라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차체 뒤쪽은 램프에 두 줄 디자인을 반영하면서 위아래 디자인을 구분해 변화를 주었고, 두 줄 모두 차체 뒤쪽 전체를 감싸도록 해 너비를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번호판, 각종 센서, 후진등 등 기능적 요소는 아래쪽에 집중 배치해 면이 돋보이도록 만들었습니다.

주요 디자인 요소는 제네시스 차들에 쓰이고 있는 공통 요소들을 섬세하게 다듬고 발전시켰습니다. 그릴은 제네시스 고유의 지 매트릭스 (G-Matrix) 패턴을 이중으로 엇갈리게 배치한 입체적 구조로 디자인했고, 헤드램프는 두 줄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향등과 주간 주행등, 상향등 렌즈를 교차 배치하는 한편, 제네시스 전체 모델 중 가장 얇게 만들었습니다. 그와 더불어 하향등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 기술을 썼습니다. 이 하향등에는 모듈 1개당 200여 개의 마이크로 옵틱 렌즈를 넣어, 기존 프로젝션 램프와 같은 수준의 광량을 내면서도 렌즈 크기는 한층 더 줄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차체색은 두 가지 무광 페인트(마칼루 그레이 매트, 베르비에 화이트 매트)를 포함해 모두 열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한라산 그린은 신형 G90에 처음 쓰이는 색으로, 우리나라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이름을 지은 것이 특징입니다.

내부는 ‘여백의 미’를 바탕으로 현대적 이미지와 아날로그 감성을 모두 담았다는 것이 제네시스의 주장입니다. 센터 페시아와 앞좌석 등받이, 앞뒤 도어 트림에는 새로운 공법으로 만든 장식을 넣었습니다. 폐지를 가공해 만든 뉴스페이퍼 크라운 우드 및 뉴스페이퍼 스트라이프 우드 장식이 대표적입니다. 아울러 우리나라 전통 공예의 상감 기법을 응요한 메탈 지 매트릭스 패턴 가니시가 브랜드 모델 처음으로 쓰였는데, 도어 트림에 쓰이는 애시 우드 또는 포지드 카본 소재에 들어가는 실제 금속 장식에 반영되었습니다.

아울러 탑승자 건강을 고려해 실내 인조가죽 내장재와 카 매트에는 세균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은 아연 제올라이트 항균 코팅 처리를 했고, 소지품을 살균할 수 있도록 뒷좌석 암레스트 수납공간에는 UV-C LED 램프를 달았습니다. 공기 청정 시스템에는 항균 필터와 살균 기능이 있는 광촉매 모듈을 설치했습니다.

대시보드는 시각적으로 운전자 중심으로 기능적으로 장비를 배치했고, 가로 방향 요소를 얇고 넓게 배치해 공간감을 강조했습니다. 대형 풀 LCD 계기판과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은 하나의 패널에 나란히 놓으면서, 대시보드 패드 일부를 연장해 영역을 구분했습니다. 실내 색은 다섯 가지 조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센터 콘솔의 조작장치는 주행 관련 기능과 인포테인먼트 관련 항목을 좌우로 나란히 배치했고, 핵심 조절장치인 전자식 변속 조작계(SBW, 로터리식 기어 선택 장치)와 집중 조작계(CCP, 인포테인먼트 조절장치)에 각각 유리와 알루미늄 소재를 쓰고 표면 가공을 달리했습니다. 아울러 SBW에는 오조작 방지를 위해 후진 기어(R 위치) 최초 및 반복 조작 때 햅틱 진동으로 운전자에게 작동 상태를 알리는 기능이 들어갔습니다.

앞뒤 좌우 좌석은 모두 에르고 릴랙싱 시트가 적용됩니다(뒷좌석은 패키지 선택 사항). 이 시트는 좌석 내부에 설치된 공기 주머니를 이용해 쿠션을 조절할 수 있고 시간과 강도를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네 가지 마사지 모드도 포함됩니다. 뒷좌석은 에르고 릴랙싱 시트가 들어가면 레그 레스트와 열선 및 통풍(흡입) 기능을 지원하는 풋레스트가 추가됩니다. 특히 운전석은 승하차 때와 주행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쿠션을 조절하는 기능도 포함됩니다.

뒷좌석은 세 명이 앉을 수 있는 구성이 기본이고, 센터 콘솔로 좌우가 분리되어 두 명이 나란히 앉을 수 있는 퍼스트 클래스 VIP 시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인 3인승 좌석에서도 좌우 시트 기울기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C 필러 부분에는 잡지나 책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아울러 브랜드 처음으로 선보이는 8인치 뒷좌석 암레스트 터치 디스플레이가 기본 사항에 포함됩니다. 중앙 암레스트에 설치된 터치 디스플레이는 뒷좌석 공기조절 기능, 시트, 마사지, 커튼, 조명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파노라마 선루프는 앞뒤 롤 블라인드를 개별 조절할 수 있고, 좌우 양쪽 끝에 배치한 무드 램프는 실내 아래쪽(대시보드, 센터 콘솔, 도어 트림)에 배치된 무드 램프와 연동됩니다.

동력계는 V8 엔진이 빠지고 G90에는 처음 쓰이는 V6 3.5L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만 남았습니다. 최고출력은 380마력, 최대토크는 54.0kg・m으로 G80에 쓰이는 것과 같습니다. 변속기는 자동 8단이고, 구동계는 뒷바퀴굴림 방식이 기본으로 네바퀴굴림(AWD)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섀시는 서스펜션에 주행 조건과 주행 모드에 따라 에어 스프링 강도를 3단계로 조절하고 차고 조절 기능이 있는 멀티 챔버 에어 스프링, 전방 카메라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종합해 전방 노면에 알맞게 서스펜션 특성을 제어하는 프리뷰 전자 제어 기능, 브레이크 다중 냉각 구조와 제동감을 세 가지(컴포트, 스포츠, 쇼퍼) 중 하나로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 모드, 능동형 후륜 조향(Rear Wheel Steering, RWS) 기능 등이 들어갔습니다.

정숙성 향상을 위한 차체 구조 강화, 이중 접합 차음 유리 사용, 주요 부위 흡음재 설치 등 일반적 대책 외에도 노면 소음을 상쇄하는 주파수의 소리를 스피커로 내는 액티브 로드 노이즈 컨트롤(Active Noise Control-Road, ANC-R)도 기본 사항에 포함했습니다.

다양한 스마트 편의 기능(일부 기능은 선택 사항)도 마련했습니다. 스마트키를 소지한 사람이 도어에 다가가면 자동으로 돌출되는 오토 플러시 도어 핸들, 실내에서 버튼(앞좌석 센터 콘솔, 뒷좌석 암 레스트, 전좌석 도어 트림)을 누르거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도어를 닫을 수 있는 이지 클로즈 기능, 센터 콘솔에 설치된 지문 인증 시스템, 키 없이도 등록한 스마트폰을 소지하거나 및 도어 핸들을 터치하면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시동을 켤 수 있는 제네시스 디지털 키 2, 키나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트렁크 뒤쪽에서 3초 이상 대기하면 트렁크를 열 수 있는 스마트 트렁크 등이 대표적입니다.

무선(Over-the-air, OTA) 업데이트 범위도 넓습니다. 내비게이션, 클러스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브레이크, 스티어링 휠, 서스펜션, 에어백,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등 주요 기능의 OTA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제네시스 디지털 키 2의 저전력 블루투스(BLE) 및 초광대역 무선통신(UWB) 기능도 나중에 OTA 업데이트된다고 합니다.

주행 및 운전 보조 기능에도 최신 기술이 쓰였습니다. 스티어링 휠에는 브랜드 처음으로 감지 정확도가 높은 직접식 그립 감지 시스템(Hands On Detection, HOD)이 쓰여 스티어링 휠을 잡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주차 충돌 방지 보조(PCA) 기능은 감지 범위가 차 주변 모든 방향으로 넓어졌습니다.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기능은 브랜드 처음으로 광각 카메라를 사용해 주차선을 인식해 직각, 평행, 사선 주차를 돕습니다.

오디오 시스템은 세계 최초로 버추얼 베뉴(Virtual Venue)를 구현한 뱅 앤 올룹슨 사운드 패키지를 선택 사항으로 마련한 것이 특징입니다. 버추얼 베뉴는 뱅 앤 올룹슨 프리미어 3D 사운드 시스템(23 스피커)을 통해 보스턴 심포니 홀 또는 뱅 앤 올룹슨 홈 등 음악 감상에 최적화된 공간의 음장 특성을 재현하는 가상 3D 서라운드 음향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실내에 설치된 마이크로 실내 소리 상태를 감지하고 소음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선택한 장소의 음장 특성을 살린 소리를 냅니다.

아울러 전용 향기 카트리지로 실내에 향을 내는 실내 향기 시스템을 포함해 무드 램프, 사운드 시스템, 시트 마사지, 전동 커튼 등 감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작 한 번으로 통합 제어하는 무드 큐레이터 기능도 브랜드 처음으로 쓰입니다.

선택 사항인 전동식 뒷좌석 듀얼 모니터를 추가하면 시트 모드에 따라 모니터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10.2인치 터치 스크린이 앞좌석 등받이에 설치되고, 좌우 모니터에 블루투스 헤드셋을 연결해 개별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후 출시 예정인 G90 롱휠베이스는 일반 모델보다 차체가 190mm 길고, 전용 뒤 도어와 C 필러를 갖춰 뒷좌석 공간이 한층 더 넓습니다. 앞뒤 범퍼 디자인도 일반 모델과 다르고 휠도 20인치 전용 휠을 쓰며, 두터운 크롬 장식으로 B 필러와 옆 유리 테두리를 장식했습니다. 실내에는 세미 아닐린 가죽을 쓴 퀼팅 시트와 뒷좌석 좌우 레그 레스트를 답니다.

V6 3.5L 가솔린 트윈터보 엔진에는 브랜드 처음으로 48V 전동 슈퍼차저(e-S/C)를 적용합니다. 이 기술은 터보차저의 과급압력이 낮은 엔진 저회전 영역에서 전동 슈퍼차저로 과급압력을 높여 저속과 중속에서 가속 응답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울러 구동계는 AWD, 섀시는 멀티 챔버 에어 서스펜션과 능동형 후륜 조향 기능이 기본 적용됩니다.

G90 일반 모델의 기본값은 9,100만 원(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시 8,957만 원)이고, AWD 시스템(350만 원) 선택 시 9,450만 원, 뒷좌석 컴포트 패키지 I(350만 원) 선택 시 추가할 수 있는 퍼스트 클래스 VIP 시트(4인승, 350만 원) 선택 시 9,800만 원이 됩니다. 모든 선택 사항을 추가했을 때의 값은 1억 4,010만 원입니다.

G90 롱 휠베이스 모델의 기본값은 1억 6,700만 원(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시 1억 6,557만 원)이고, 뒷좌석 컴포트 패키지(500만 원) 선택 시 추가할 수 있는 퍼스트 클래스 VIP 시트(4인승, 400만 원) 선택 시 1억 7,600만 원이 됩니다. 모든 선택 사항을 추가했을 때의 값은 1억 8,310만 원입니다.


[ 주요 제원 ]

제네시스 G90
차체형식
공차중량
4도어 4/5인승 세단
2025~2175kg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5275x1930x1490mm
3180mm
엔진 형식
최고출력
최대토크
V6 3.5L 가솔린 트윈 터보
380마력/5,800rpm
54.0kgm/1,300~4,500rpm
변속기
굴림방식
자동 8단(AT)
뒷바퀴굴림(FR)/네바퀴굴림(AWD)
복합연비
CO2 배출량
에너지소비효율
8.3~9.3km/L
184~207g/km
5등급
기본값 (개별소비세 인하분 적용 기준)8,957만 원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