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도 헤드램프 켜지 않는 ‘스텔스 차’… 답답합니다

[ 2019년 10월에 페이스북에 올린 게시물들을 정리한 글입니다 ]

주간주행등이 너무 밝아서인지 야간인데도 램프 켜는 걸 잊어버리신 분이 계셨습니다. 램프는 내가 남들을 보는 것만큼이나 남들이 나를 볼 수 있게 한다는 면에서도 중요합니다. 주간주행등이 낮에 그런 역할을 한다면, 밤에는 다른 램프들이 그렇습니다. 램프 스위치를 오토(Auto)에 놓으시면 깜빡해도 이런 불상사를 예방할 수 있죠.

심야에도 램프를 켜지 않고 달리는 이른바 ‘스텔스 차’

물론… 제 차에도 오토 램프 기능은 없습니다. 전에 가졌던 차들 가운데에는 오토 램프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었습니다. 저도 기억력이 썩 좋지 않은 편이라 종종 까먹을 때가 있기는 합니다만, 오토 램프가 있는 차들을 몰 때도 대부분 시동을 건 직후 ‘온(On)’ 상태로 놓고 내버려 둡니다. 켜는 것을 잊는 것보다 끄는 것을 잊는 쪽이 낫습니다.

방전이 걱정된다면, 차에서 내릴 때 최대한 잊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옛 차들과 달리 요즘 차들은 대부분 시동을 끄고 차에서 내릴 때 램프가 켜져 있으면 계기판에 경고 메시지가 뜨거나 경고음을 냅니다. 그때 끄셔도 늦지 않습니다.

오토 램프 기능이 없는 차는 헤드램프를 온(On) 위치에 놓고 다니다가 꺼야할 때 잘 끄면 된다

나아가, 요즘 차들에는 대부분 배터리 세이버가 있습니다. 배터리에서 내놓는 전기가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지나치게 방전되지 않도록 작동하는 보호회로죠. 하룻밤 정도는 헤드램프 켜놓은 채 지나가도(블랙박스 상시전원 연결 등 개조가 되어 있지 않다면) 웬만해서는 방전되지 않습니다.

전구 수명이 짧아진다고요. 그럴 수 있습니다. 일반 할로겐 램프는 그렇죠. 그래봐야 흔히 쓰는 H4/H7 램프 두 개에 싼 제품은 1만 원 선, 비싼 제품은 3~5만 원 선이면 대형 할인점에서 충분히 살 수 있습니다. 웬만한 차들은 운전자가 직접 헤드램프 교체할 수 있습니다. 공구 필요 없는 경우도 있고, 필요하더라도 십자드라이버 하나만 있으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H1 램프. 헤드램프 할로겐 전구 교체는 어렵지도 않고 큰 돈이 들지도 않는다

램프 교체가 번거로우시면 동네 아무 카 센터에 가서 교체해 달라고 하세요. 그래봐야 할로겐램프 두 개 교체하는 데 7만 원 넘어가는 일 거의 없을 겁니다. 그리고 1년에 2만 km 정도 달리는 차가 특별히 전기계통 이상 없으면 한 번 교체하는 걸로 2년은 충분히 버팁니다.

차폭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같은 것들은 전구값이 더 쌉니다. 다만 구조적으로 조금 더 교체하기 번거로운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럴 때도 동네 아무 카 센터나 가서 교체해 달라고 하셔도 됩니다. 간혹 커넥터를 잘못 연결하는 경우가 있으니 그것만 차 출고 전에 확인하시면 됩니다.

‘나는 괜찮다’… 잘 알지도 못하는 댁 걱정을 내가 왜 합니까. 댁 때문에 내가 불편하고 위험하니까 하는 얘기죠.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