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쉐코리아가 2022년 9월 22일에 718 라인의 최상위 모델 중 하나인 신형 718 카이맨 GT4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습니다. GT4는 718 카이맨 중에서도 트랙 주행에 초점을 맞춘 고성능 모델인데요. 글로벌 공개가 2019년 6월에 있었으니 국내 출시는 조금 늦은 감이 있습니다.

신형 718 카이맨 GT4는 포르쉐가 911 카레라의 것을 바탕으로 새로 개발한 수평대향 6기통 4.0L 엔진을 얹습니다. 새 엔진의 최고출력은 428마력, 최대토크는 43.9kg・m이고요. 자연흡기 엔진 특유의 선형적인 출력 상승 및 GT 엔진 특유의 즉각적인 응답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조율했고, 엔진 회전한계가 8,000rpm에 이르러 복서 엔진 고유의 소리를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연료소비 효율과 성능 향상을 모두 고려한 기술도 반영했는데요. 어댑티브 실린더 컨트롤 기술을 적용해, 부분 부하 작동 시 두 개의 실린더 뱅크 중 하나에서 분사 과정을 일시적으로 중단해 연료 소비를 줄입니다. 또한 피에조 인젝터는 연료 분사 프로세스 당 최대 5회까지 연료를 분사할 수 어 배기가스의 완전 연소를 돕고, 2개의 공명 플랩을 단 가변 흡기 시스템이 실린더 안의 가스 교환을 최적화합니다.
PDK 7단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4.0L 자연흡기 엔진이 올라가는 모든 718 모델에 쓰이는 것으로, GT4의 것은 기어비 간격이 더 좁습니다. 주행 모드는 전형적인 GT 모델의 특성이 나타나도록 조율했고, PDK 스포츠 버튼을 사용해 최대 성능을 끌어낼 수 있는 것은 물론 오토매틱 셀렉터 레버를 사용하면 스포티한 감성을 더 뚜렷하게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최고속도는 시속 302km, 시속 100km 정지가속 시간은 3.9 초입니다.

공기역학 특성도 한층 더 개선했습니다. 차체 주요 부분에 반영한 공기역학 요소들은 항력에 아무 영향도 주지 않으면서 이전세대 대비 약 50%의 추가 다운포스를 만듭니다. 특히, 새롭게 디자인한 싱글 챔버 아치 리어 사일런서로 에어로다이내믹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싱글 챔버 리어 머플러는 크기가 작아 차체 뒤쪽 다운포스의 30%를 차지하는 기능성 디퓨저를 설치할 공간을 만들어내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고정식 리어 윙 또한 이전 모델보다 약 20% 더 큰 다운포스를 냅니다. GT 스타일을 살린 디자인의 전면부는 커다란 프런트 스포일러 립과 프런트 휠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완화하는 이른바 에어 커튼을 만들어 내 공기역학적 균형을 유지합니다.
섀시는 고성능에 걸맞은 코너링 특성을 갖도록 조율했습니다. 모터스포츠 경험을 바탕으로 스프링 스트럿, 앞뒤 리어 액슬 구조를 경량화했고, 섀시의 직접 연결부에는 부분적으로 볼 조인트를 사용했습니다. 포르쉐 액티브 서스펜션 매니지먼트(PASM) 댐핑 시스템은 작동 범위와 차체 지상고를 10mm 낮춰 무게 중심을 낮추고 횡방향 한계를 높입니다.
또한 포르쉐 스태빌리티 매니지먼트(PSM)는 더 정확하고 정밀하게 작동하도록 조율했고,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두 단계에 걸쳐 비활성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계식 리어 디퍼렌셜 록이 설치된 포르쉐 토크 백터링(PTV)은 종방향 및 횡방향 한계, 코너링 성능, 주행의 즐거움을 더욱 강화하며, 리어 스틸 롤 바를 포함하는 클럽 스포츠 패키지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트랙 주행 때에도 제동력이 유지되도록 대형 알루미늄 모노블록 고정식 캘리퍼를 달았고, 선택 사항으로 포르쉐 세라믹 컴포지트 브레이크(PCCB) 디스크를 달 수도 있습니다.

신형 718 카이맨 GT4의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은 1억 3,870만 원입니다.
[ 주요 제원 ]
포르쉐 718 카이맨 GT4 | |
---|---|
차체형식 공차중량 | 2도어 2인승 쿠페 1485kg |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 4455x1800x1270mm 2475mm |
엔진 형식 최고출력 최대토크 | H6 4.0L 가솔린 428마력/7600rpm 43.9kg∙m/5500rpm |
변속기 굴림방식 | 듀얼클러치 자동 7단(DCT) 뒷바퀴굴림(MR) |
복합연비 CO2 배출량 에너지소비효율 | 7.6km/L 231g/km 5등급 |
기본값 (개별소비세 인하분 적용 기준) | 1억 3,870만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