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 역대 RAV4 가운데 우리나라에 처음 선보이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
- 전기차 모드로 국내 인증 기준 최대 63km(복합) 주행 가능
- 가솔린 하이브리드 및 전기 네바퀴굴림 장치 갖추고 5,570만 원에 판매

토요타코리아가 2023년 2월 21일에 서울 잠실 커넥트투에서 RAV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공개하고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토요타가 2022년 4월부터 국내 판매를 시작한 RAV4 5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PHEV 버전으로, 미국 등 일부 시장에는 RAV4 프라임(Prime)이라는 이름으로도 팔리고 있습니다. 미국에는 SE와 XSE 트림이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XSE 한 가지 트림만 판매되고,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은 5,570만 원입니다.

기본적인 틀은 앞서 판매를 시작한 RAV4 하이브리드(HEV)와 같습니다. 다만 효율과 더불어 성능을 강조한 E-부스터(E-Booster) 개념을 반영해 좀 더 스포티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을 실내외에 반영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외부 모습은 메시(mesh) 패턴을 넣은 앞 그릴 내부와 범퍼 아래에 설치한 에어댐, 검은색 부분을 광택 처리한 앞뒤 범퍼와 사이드 스커트, 그릴과 옆 유리 주변에 넣은 크롬 장식, 19인치인 휠의 크기와 디자인 정도만 다르고 양쪽 앞 펜더와 뒤 해치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로고를 붙인 정도입니다. PHEV에서만 선택할 수 있는 이모셔널 레드2 차체색이 새로 선보였고요.

내부도 RAV4 HEV와 비슷한데요. 스포티한 분위기를 내기 위해 내장재에 검은색을 주로 쓰면서 가죽 재질로 된 부분의 재봉선을 빨간색으로 처리한 것이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입니다. 그밖에도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알맞게 추가된 주행 모드 선택 스위치, 전용 변속 패들 등이 추가되었고요.
동력원은 큰 틀에서 RAV4 HEV AWD 모델(국내 판매 모델은 리미티드 트림)과 비슷합니다. 앞바퀴는 2.5L 가솔린 엔진과 전기 모터, 전자식 무단 자동변속기를 포함한 동력분기 장치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굴리고, 뒷바퀴는 따로 설치한 구동용 전기 모터가 굴리는 전자식 전동 네바퀴굴림 시스템(E-Four)을 갖췄기 때문이죠. E-Four는 물리적 구조 대신 전자장치에 의해 연동되어, 주행 조건이나 필요에 따라 앞뒤 구동력 비율을 100:0에서 20:80까지 가변 조절할 수 있습니다.

물론 차이점도 있는데요. 가장 큰 차이는 외부 전원에 연결해 충전할 수 있는 대용량 고전압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대용량 고전압 배터리 용량은 18.1kWh로, RAV4 HEV용 배터리 용량(약 1.6kWh)의 10배가 넘습니다. 국내 인증 1회 충전 최대 주행가능 거리(복합 기준)는 63km고요. 대용량 고전압 배터리가 추가되는 등 HEV보다 무거울 수밖에 없지만, 그럼에도 국내 인증 연비(복합 기준)가 15.6km/L로 HEV의 15.1km/L(AWD 리미티드 트림 기준)보다 뛰어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또하나 다른 점 중 하나는 앞바퀴를 굴리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쓰인 전기 모터 성능이 RAV4 HEV에 쓰인 것보다 높다는 사실입니다. 2.5L 가솔린 엔진은 최고출력 177마력, 최대토크 22.7kg・m으로 PHEV와 HEV가 같지만, 전기 모터는 HEV가 최고출력이 120마력인 반면 PHEV는 최고출력이 182마력에 이르고 최대토크(27.6kg・m)도 PHEV가 HEV보다 약 33% 큽니다. 그래서 시스템 총출력은 306마력(HEV는 222마력)에 이르고요. 뒷바퀴를 굴리는 후륜 전기 모터 출력(54마력)과 토크(12.3kg・m)는 PHEV와 HEV가 같습니다.

주행 모드도 좀 다른데요. 엔진 개입없이 전기 모터 만으로 달리는 EV모드, 배터리 충전량을 유지하면서 전기 모터와 엔진을 함께 사용하는 HV모드, EV모드로 주행하면서 언덕을 오르거나 추월하는 등 큰 힘이 필요할 때에는 엔진을 함께 사용하도록 자동으로 EV모드와 HV모드를 전환하는 Auto EV/HV모드, 배터리 충전량이 EV모드로 주행할 수 없을 만큼 줄었을 때 엔진을 발전기로 활용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CHG HOLD모드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네 가지 주행 모드는 기어 레버 옆에 있는 버튼을 이용해 운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PHEV인 만큼 외부 전원을 연결한 충전은 완속(3.3kW 및 6.6kW)만 가능한데요. 6.6kW(32A) 충전기로 최적 조건에서 충전하면 2시간 37분 이내에 100% 충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차를 소유한 사람만 충전 플러그를 뺄 수 있는 충전 커넥터 락(lock) 기능도 지원된다고 하네요. 다만 PHEV 시스템 때문에 적재공간 바닥이 높아져, 적재공간 크기는 RAV4 HEV보다 조금(약 10%) 작습니다.

토요타코리아는 RAV4 PHEV를 내놓으면서 ADAS 패키지인 토요타 세이프티 센스(Toyota Safety Sense, TSS)도 업그레이드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미 TSS에 포함되어 있던 긴급제동 보조시스템(PCS)에 교차로 긴급 제동 보조 기능과 맞은편 차량(대향차) 긴급 제동 보조 기능이 추가되었고, 긴급 조향 어시스트와 함께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DRCC)에는 커브 감속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하네요. 아울러 주차 중 장애물을 감지했을 때 제동에 개입하는 주차보조 브레이크 기능도 국내에 판매되는 토요타 모델 중 처음으로 들어갔다고 합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국내 판매 토요타 모델 라인업 처음으로 토요타 커넥트(Toyota Connect)가 들어갑니다. LG U+의 U+ DRIVE를 기반으로 하는 토요타 커넥트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무선(OTA) 업데이트와 더불어 실시간 정보를 반영한 내비게이션과 음악 스트리밍, 팟캐스트, 모바일TV, 카투홈 기능인 U+ 스마트홈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일부 기능은 별도 서비스 가입 필요). 네이버 클로바(NAVER CLOVA) AI 음성인식 시스템도 쓸 수 있어, 내비게이션 목적지 설정과 공기조절장치 제어 등 여러 기능을 음성명령으로 선택하고 쓸 수 있습니다. 아울러 차량 관리 안내 및 긴급출동 서비스 사용 등 텔레매틱스 기능도 지원하고요.
[ 사족 한 줄 ]
5,570만 원이라는 값에서 국내 시장에서 팔리는 엔트리급 전기차를 염두에 두고 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같은 트림 시작가가 4만 6,210달러니까 1,300원/달러라고 쳐도 미국보다 싸게 내놓은 겁니다.
[ 주요 제원 ]
토요타 RAV4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XSE | |
---|---|
차체형식 공차중량 | 5도어 5인승 왜건 1,930kg |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 4,600×1,855×1,690mm 2,690mm |
동력계 형식 동력원별 최고출력 시스템 최고출력 동력원별 최대토크 연료탱크 용량 구동용 배터리 용량 | I4 2.5L (2,487cc) 가솔린 엔진 + 전기 모터x2 (전륜, 후륜) 엔진 178마력/6,000rpm, 전기 모터 – 전륜 134kW(182마력), 후륜 40kW(54마력) 306마력 엔진 22.7kg・m/3,200~3,700rpm, 전기 모터 – 전륜 27.5kg・m, 후륜 12.3kg・m 55L 18.1kWh |
변속기 굴림방식 | 연속가변 자동 무단(CVT) 네바퀴굴림(e-AWD) |
표시연비 – 복합 (도심, 고속도로)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 CO2 배출량 에너지소비효율 | 15.6km/L (16.3km/L, 14.7km/L) 63km 21g/km PHEV |
기본값 (개별소비세 인하분 적용 기준) | 5,570만 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