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이 2021년 8월 18일부터 2022년형 쉐보레 볼트 EV와 볼트 EUV의 사전계약을 시작했다. 볼트 EV는 실내외 디자인을 바꾸고 일부 기능과 장비를 개선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고, 볼트 EUV는 볼트 EV를 바탕으로 새로 만든 가지치기 모델로 휠베이스와 차체를 늘려 실내 및 적재공간을 키운 크로스오버 SUV다.
2022년형 볼트 EV는 차체 형태는 이전과 같지만 앞뒤 범퍼 디자인 변경과 더불어 크기에 변화가 있다. 길이는 4,140mm로 25mm 짧아졌고, 높이는 루프레일이 빠지면서 1,595mm로 15mm 낮아졌다. 너비는 1,765mm로 이전과 같다.
볼트 EUV는 볼트 EV보다 휠베이스가 75mm 긴 2,675mm고, 길이는 4,305mm로 165mm 길다. 높이는 1,615mm로 볼트 EV보다 20mm, 너비는 1,770mm로 볼트 EV보다 5mm 크다.

2022년형 볼트 EV의 외부는 5도어 해치백 차체 형태와 주요 디자인 요소는 이전과 비슷하다. 그러나 앞 모습에 변화를 주었고, 테일램프 내부와 앞뒤 범퍼 디자인을 손질하는 식으로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전형적 차이를 보여준다.
가장 크게 달라진 부분인 앞 모습은 헤드램프를 범퍼 쪽으로 옮기고, 보닛과 만나는 부분에 주간 주행등을 배치했다. 헤드램프 주변의 검정색 부분은 앞 펜더를 타고 올라가며 사이드 미러가 시작되는 곳까지 이어지도록 했다. 아울러 다이아몬드 패턴을 넣은 더미 그릴은 범퍼 쪽에 배치한 대신 쉐보레 보 타이 엠블럼 주변은 차체와 같은 색으로 이어지는 랩 어라운드 스타일로 바꿨다.

옆 모습은 이전과 거의 같지만 지붕의 루프레일이 빠지고 도어 아래쪽 검정색 가니시 디자인이 단순해졌다. 아울러 헤드램프 옆에 있었던 ‘BOLT EV’ 로고도 빠졌다. 17인치 휠도 디자인이 바뀌었다.
테일램프는 내부 발광면을 가로 방향으로 단순화했고, 범퍼에 단 후부 반사판은 얇아졌다. 아울러 범퍼 아래쪽 검정색 장식 부분을 후부 반사판까지 끌어 올리는 한편 후진등을 범퍼 아래쪽 가운데로 옮겼다.

볼트 EUV의 외부는 전반적 형태는 볼트 EV와 비슷하면서, 보닛과 앞 유리가 이루는 각도를 줄이고 차체 앞 부분이 더 돌출된 형태로 만들었다. 헤드램프와 주간 주행등 위치는 볼트 EV와 같지만, 볼트 EUV는 램프를 완전히 분리되도록 디자인해 차별화했다. 그릴도 볼트 EUV쪽이 좀 더 크고, 다른 패턴을 넣은 더미 그릴 아래 부분이 더 넓다. 범퍼 아래쪽에는 스키드 플레이트 분위기의 장식을 더했다.
옆 유리는 볼트 EV와 달리 앞 도어 앞쪽에 쪽창이 없고, 사이드 미러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곧바로 이어지는 유리 아래 선이 뒤 도어 중간부터 위쪽으로 치고 올라가는 스타일이다. C 필러에는 쿼터 글래스 모양의 검정색 장식을 달았다. 또한, 도어 패널의 굴곡도 볼트 EV와 다르고, 휠 아치 주변에는 휠 아치와 나란히 예리한 굴곡을 더했다. 볼트 EV에서는 옆 유리 위로 흐르는 크롬 장식은 볼트 EUV에서는 도어 아래쪽 검정색 가니시에 화살촉 모양으로 들어간다. 지붕에는 볼트 EV에는 없는 루프 레일이 있다.

뒷모습은 볼트 EV와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테일게이트와 지붕이 만나는 부분의 루프 스포일러는 보조제동등 부분을 파놓은 형태다. 테일램프는 차체 옆면을 파고든 부분이 더 두텁고 차폭등 발광면은 더 얇게 처리했다. 아울러 테일게이트는 번호판 아래쪽 가까이에 굵은 굴곡을 넣었고, 범퍼 아래쪽 검정색 부분을 가운데 부분만 위쪽으로 이어놓은 대신 범퍼 아래쪽에는 앞 범퍼와 마찬가지로 스키드 플레이트 장식을 넣었다.

내부는 두 모델이 같은데, 볼트 EV 기준으로는 대시보드와 스티어링 휠, 도어 트림과 센터 콘솔 등 주요 부분이 모두 바뀌었다.
대시보드는 10.2인치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을 중심으로 각진 형태에 가깝게 바뀌었고, 공기조절장치 부분도 각진 형태로 얇게 배치했다. 계기판은 이전과 같은 크기의 8인치 풀 LCD 스크린으로, 그래픽이 바뀌었다. 새로운 D컷 스타일 스티어링 휠은 스위치류가 버튼식으로 바뀌었고, 아래쪽 스포크 가운데가 뚫린 형태가 되었다.

레버식이었던 전자식 기어 선택 장치는 버튼 식으로 바뀌었고, 대시보드와 센터 콘솔이 분리되어 있던 구형과 달리 이어진 형태로 바뀌면서 아래쪽에 수납공간을 배치했다. 컵 홀더 위치는 기어 레버 앞쪽에서 기어 선택 버튼 뒤로 옮겼다. 또한, 앞좌석 디자인도 바뀌었다.
트렁크 크기는 볼트 EV가 기본 405L, 2열 좌석 수납 시 1,229L이고 볼트 EUV는 기본 430L, 2열 좌석 수납 시 1,288L다.

동력계와 구동계, 배터리 구성은 2022년형 볼트 EV와 볼트 EUV 모두 2021년형 볼트 EV와 같다. 앞 차축에 연결된 150kW(204마력) 전기 모터가 앞바퀴를 굴리고, 앞뒤 바퀴 사이 차체 바닥에 설치된 배터리 팩의 총 충전 전력량은 66kWh다. 복합 사이클 기준 전비는 2022년형 볼트 EV가 414km로 2021년형 모델과 같고, 볼트 EUV는 403km다.

모든 모델에 에어백 10개가 기본으로 설치되는데, 2022년형 볼트 EV는 이전 모델보다 4개가 늘어난 것이다. 차체에는 기가스틸이 포함된 초고장력/고장력 강판이 볼트 EV에는 81.5%, 볼트 EUV에는 84.4%가 적용되었다는 것이 한국지엠의 설명이다.
주요 주행 및 운전 보조 기능으로는 정차 및 재출발 기능을 지원하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디지털 서라운드 비전 카메라, 보행자 감지 및 대응 기능이 포함된 저속 자동 긴급 제동 기능, 차선 이탈 방지 경고 및 보조 기능과 전방 충돌 경고 기능 등이 볼트 EUV에는 기본, 볼트 EV에는 선택 사항(테크 패키지)으로 들어간다. 차선 변경 및 사각지대 경고 기능과 후측방 경고, 뒷좌석 승객 리마인더 기능 등은 두 모델 모두 기본 사항에 포함된다.

주요 기본 편의 사항 및 기능으로는 스마트폰 무선 충전 장치, 스마트폰 무선 연동(애플 카플레이 및 안드로이드 오토) 기능, 듀얼 커넥션 블루투스, 앞뒤좌석 듀얼 USB 충전 포트, 앞좌석 및 스티어링 휠 열선 기능 등이 있다. 볼트 EUV는 앞좌석 통풍 기능과 뒷좌석(좌우) 열선 기능과 파노라마 선루프가 기본 사항에 포함되고, 패키지 선택 사항(밸류 플러스)에 후방 디스플레이 룸미러가 추가된다.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친환경차 세제혜택 미반영 기준)은 볼트 EV가 4,130만 원, 볼트 EUV가 4,490만 원이다. 일부 기본 사항이 빠지고 더해지기는 했지만, 볼트 EV는 프리미어 트림 기준으로 2020년형 모델보다 684만 원 싸다. 두 모델 모두 친환경차 구매 국고보조금은 760만 원으로 책정되었다.
모든 선택 사항을 추가했을 때의 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친환경차 세제혜택 미반영 기준)은 볼트 EV 프리미어가 4,350만 원, 볼트 EUV 프리미어가 4,685만 원이다.
[ 주요 제원 ]
쉐보레 볼트 EV | |
---|---|
차체형식, 공차중량 | 4도어 5인승 해치백, 1640kg |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 4140x1765x1595mm, 2600mm |
동력계 형식, 최고출력, 최대토크 | 전기 모터, 150kW(204마력), 360Nm(36.7kg・m) |
굴림방식 | 앞바퀴굴림(FF) |
배터리 용량, 복합전비, 1회 충전 복합 주행가능거리 | 66.0kWh, 5.4km/kWh, 414km |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 | 4,130만 원(친환경차 세제혜택 반영 후) |
쉐보레 볼트 EUV | |
---|---|
차체형식, 공차중량 | 4도어 5인승 왜건, 1700kg |
길이x너비x높이, 휠베이스 | 4305x1770x1615mm, 2675mm |
동력계 형식, 최고출력, 최대토크 | 전기 모터, 150kW(204마력), 360Nm(36.7kg・m) |
굴림방식 | 앞바퀴굴림(FF) |
배터리 용량, 복합전비, 1회 충전 복합 주행가능거리 | 66.0kWh, 5.5km/kWh, 403km |
기본값(개별소비세 인하분 반영 기준) | 4,490만 원(친환경차 세제혜택 반영 후) |